2018.11.19 17:05

한자의 정체성

조회 수 472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자의 정체성에 대해 말해봅니다  
 
한자의 창시자는 창힐입니다  
 
황제헌원의 국사로써
글에 관한 관리였습니다  
 
황제헌원은 중국인들이
조상으로 섬기는 삼황 즉
태호복희 염제신농 황제헌원
이렇게 세명의 황제를 말합니다 
 
그런데 삼황 모두가 동이족 출신입니다 
 
환국의 단군들이 중국으로
이주해서 중국인들에게
글과 노래 춤을 가르쳐 주었습니다  
 
그 당시 중국땅은
동이족의 땅이였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중국땅이
되어버렸습니다 왜 그럴까요  
 
글을 빼앗겼기 때문입니다  
 
한자는 우리 동이족의
선조인 창힐이 창제했습니다  
 
그것을 중국인들이
역사왜곡해서 창힐을
중국의 조상으로 둔갑시키고
한자도 중국의 글이라고 왜곡한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자를 빼앗기니까
한자를 국어로 사용하는 중국이
중국의 땅에 주인이된 것입니다 
 
한자가 한국의 글자라는
것을 실제 예로들면 물건 이라는
한자를 한국은 음과 훈이 똑같이
물건이라고 쓰고 읽습니다  
 
그러나 중국은 물건을
훈은 같은데 음은 뚱시라고 읽습니다 
 
그것은 이미 말이 있었고
다음에 글을 도입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그러나 한국은 말과 글을 함께
사용했기 때문에 일치하는 것이고 이것이
한자를 만든 창시국이라는 증거입니다 


지금도 중국은 학자들에게
동북공정 프로젝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한국이 한자의 창시국이라는
연구를 해서 한자가 한국인이 만든
글자라는 것을 인식하고 가르쳐야 합니다  
 
그러면 한국이 강대국이 되었을때
국제법으로 중국의 있는 간도를
한국땅으로 반환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한글과 한자를 혼용해야됩니다 
 
한자를 모르면 우리 선조들이
집필해 놓은 고서들은 무용지물이
될것이고 한자 문화는 소실될 것입니다 
 
이것은 국가적으로 큰 손실입니다  
 
예를들어 조선의 무인들과
일본의 사무라이의 차이점은
조선인의 무인들은 칼만 잘썼지 
 
그런 비밀 기술들을 책으로 남기지

못한 것은 글에 문외한들이 많았기
때문에 무예서적이 드문 반면에  
 
일본 사무라이들은
글에 능통해서 모든 기술을
책으로 만들어서 잘보존했습니다  
 
그래서 일본 사무라이들이
지식층으로써 권력을 잡을 수 있었습니다 
 
지금도 일본인들은 옛고서를
읽고 연구하는데 무리가 없습니다  
 
그래서 일본 문학이 깊이가
있고 노벨상도 받는 것이고
사무라이 캐릭터를 닌자로 만들어서 
 
영화산업에도 활용해서
많은 부가가치를 올리는 것은
일본 선조들이 집필해 놓은  
 
고서들을 모티브로 사용할 수 있었고
글을 읽을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한국은 어떻습니까

한자를 제대로 아는 사람이가 드문
이유는 한자를 폐지했기 때문입니다  
 
한글의 70프로가
한자인데 한자의 창시국이
한자를 버리고 한글만 사용한다는
것은 반쪽 짜리 글만 배우는 것입니다 
 
중국의 한자는
이미 5만자가 넘었고 지금도
새로운 한자가 계속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신조어가 나오면 그것을
한자로 만들기 때문에 한자 단어가
계속 늘어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중국 지도자가 하는 말이  
중국은 한자를 간소화 하지 않으면
시대에 뒤쳐질 것이고 망하게될 것이다
라고 했습니다 그만큼 비효율적인 글자입니다 
 
그러나 한국인이 사용하는
한자는 문교부에서 지정한 1817자만
알면 생활하는데 아무 문제가 없고 

신조어가 나오더라도
한글로 사용해도 되고 이미있는
한자를 병용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심지어 한국인이 사용하는 한자는
한글과 한자의 음과 훈이 거의 같습니다  
 
이렇게 과학적인 글자를 사용안하고
폐지한다면 한글 또한 반쪽짜리
문자로 전락하는 것입니다  
 
한글도 중요한 글이지만
한자도 중요한 우리 한민족의 글입니다  
 
예전 처럼 한글과
한자를 혼용해야 두글자 모두를
문화유산으로 지킬 수 있습니다  
 
우리  선조들이 개발한 한자를
중국에 빼았겨서는 안됩니다  
 
자라나는 한국의 미래인
학생들에게 한자를 가르치고
지키는 것이 애국하는 길이고  
 
한국이 부강한 나라가 되는
지름길이라는 것을 알고
  

국가와 국민들이
인식하고 한자를 익히고
보급에 힘써야할 것입니다 
 
자랑스런 한글과 한자의 보존을 위하여 ^ ~

Screenshot_20181118-194534_Samsung Internet.jpg download.jpg 00259714.jpg 10582750.jpg

?

  1. 한자의 정체성

    한자의 정체성에 대해 말해봅니다 한자의 창시자는 창힐입니다 황제헌원의 국사로써 글에 관한 관리였습니다 황제헌원은 중국인들이 조상으로 섬기는 삼황 즉 태호복희 염제신농 황제헌원 이렇게 세명의 황제를 말합니다 그런데 삼황 모두가 동이족 출신입니다...
    Date2018.11.19 Views4724
    Read More
  2. 세미나의 어원

    세미나에 대해 말해봅니다 세미나는 한 주제에 관하여 의견을 주고 받는 교육 방식을 세미나라고 합니다 심포지엄이 비교적 큰 규모의 학술대회라면 세미나는 작은 규모의 학술 모임입니다 심포지엄은 주로 교수나 학자들이 참여하는 것 이라면 세미나는 다양...
    Date2018.09.11 Views4032
    Read More
  3. 화장실에 대하여

    화장실에 대해 말해봅니다 화장실의 한자적 의미는 될화 단장할장 집실 즉 단정한게 되게 하는 방입니다 불가에서는 근심을 푸는 곳이라는 뜻으로 해우소라고 했고 일본에서는 손을 씻는다는 뜻으로 오테아라이 라고합니다 중세 유럽에는 화장실이 없었습니다 ...
    Date2018.09.03 Views4729
    Read More
  4. 엄마의 사랑

    엄마는 이렇게했습니다 아기를 10달동안 배에 품어서 낳았기 때문에 자녀에 대한 감정이 아빠보다 클것입니다 그래서 영어 단어 중에 가장 아름다운 단어 1위가 마더입니다 엄마는 이렇게했습니다 엄마는 자녀를 키우면서 밤낮으로 밤잠 설쳐가면서 키웠습니다...
    Date2018.08.27 Views4036
    Read More
  5. 아버지의 행복

    아버지의 행복에 대해 말해봅니다 100세 시대의 반 백년 살아온 아빠들의 행복은 자녀들이 아기때는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것 같이 소중하고 사랑스럽게 키우면서 행복을 느낌니다 아기가 커서 학교에 들어가면 이런저런 재롱과 이런저런 성취의 결과물을 보...
    Date2018.08.20 Views3633
    Read More
  6. 라켓의 유래

    라켓의 유래에 대해 말해봅니다 라켓은 프랑스 테니스 경기에서 유래됩니다 처음 프랑스에서 테니스 경기를 했을 때에는 라켓이 없이 손바닥으로 공을 쳐서 넘기는 경기였습니다 이 운동은 손바닥 놀이라는 뜻으로 주드폼이라고 불렀습니다 프랑스어 주는 놀이...
    Date2018.08.13 Views3820
    Read More
  7. 건강의 중용성

    건강에 대해 말해봅니다 쇼펜하우어의 명언입니다 가장 어리석은일 중에 어리석은 일은 이익을 위하여 건강을 희생하는 것이다 미국의학회에서 정식 명칭으로 등재된 병명 중에 한국인만 걸린다는 병명이 한글로 화병입니다 화병은 울화병의 준말로 ...
    Date2018.08.06 Views3826
    Read More
  8. 법과 도덕성에 대하여

    법과 도덕성에 대해 말해봅니다 법은 질서를 유지하고 사회가 유지되기 위해 정의를 실현하는 사회적 규범이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그렇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영화 홀리데이 1988년 지강헌 일당이 탈주해서 시민들을 인질로 잡고 대항하...
    Date2018.07.23 Views3626
    Read More
  9. 욕심에 대해 말해봅니다

    욕심에 대해 말해봅니다 욕심은 분수에 넘치는 무엇을 탐내것나 누리고자 하는 마음입니다 내것이 아닌데 나의 노력의 결실이 아닌데 남의 것을 빼았는 것이 가장 나쁜 절취의 욕심입니다 욕심이 사람을 죽인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조선시대때 스님이 길을 가다...
    Date2018.07.17 Views3607
    Read More
  10. 의리에 대하여

    의리에 대해 말해봅니다 의리의 사전적 의미는 사람 관계에서 마땅히 지켜야할 도리입니다 사자성어 중에 익자삼우가 있습니다 사귀어서 이로운 세부류의 벗입니다 첫째 정직한 친구 친구 뿐만이 아니라 모든 인간관계에서는 정직해야 그 관계가 오래 간다고 ...
    Date2018.07.02 Views3588
    Read More
  11. 성씨에 대한 고찰

    성씨에 대해 말해봅니다 고구려는 장수왕때 백제는 근초고왕때 신라는 진흥왕때 부터 성씨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 답니다 본래 성을 사용한 사람들은 왕실 귀족 유학자 사신 등에 국한되었다가 고려시대때 왕건이 나라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성을 하사했습...
    Date2018.06.18 Views3615
    Read More
  12. 하이힐에 대하여

    하이힐에 대해 말해봅니다 하이힐을 여성의 전유물로 생각하지만 과거에는 남자들이 주로 신었습니다 하이힐은 영어 높다라는 하이와 뒷굼치라는 힐의 합성어입니다 하이힐을 주로 신던 사람들은 고대 페르시아 기병이였습니다 말을 타는 기병은 뒷굽이 높은 ...
    Date2018.06.11 Views4179
    Read More
  13. 언어의 의미

    언어에 대해 말해봅니다 사전적 의미는 인간의 사상이나 감정을 표현하고 의사를 소통하기 위한 문자 따위의 수단입니다 인간과 유인원의 dna 가 99프로 똑같답니다 나머지 1프로가 말을 할 수 있게 하는 유전자인 폭스피 입니다 그래서 인간과 동물이 차이가 ...
    Date2018.05.14 Views3497
    Read More
  14. 휘타구가 한자인 이유

    사단법인 대한휘타구협회 www.iwf.kr 휘타구 용품 구입 및 자격증 취득 용품 지역구 독점총판 문의 032 822 7779, 010 9128 0142 제가 휘타구스포츠를 창시할때 명칭을 영어로 안하고 한자 휘두를휘 칠타 공구로 휘타구를 한자로 명명한 이...
    Date2018.05.07 Views4206
    Read More
  15. 목표달성 에 대하여

    목표달성에 대해 말해봅니다 사전적 의미는 어떤 목적을 이루려고 지향하는 실제적 대상에 도달하는 것입니다 사자성어 중에 십벌지목 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열번 찍어 안넘어가는 나무는 없다라는 말입니다 그런데 저는 십벌지목 이라는 말을 싫어합니다 열번...
    Date2018.04.16 Views3452
    Read More
  16. 화합에 대해 말해봅니다

    화합에 대해 말해봅니다 한자적인 의미는 서로간의 마음이나 뜻을 모아 화목하게 어울린다입니다 화합이 잘되야 하는 분야 중에 음악이 있습니다 음악의 3요소는 멜로디 리듬 화성이 있습니다 거기에 중요한 요소가 하나 더 있습니다 그것은 화음입...
    Date2018.02.19 Views4051
    Read More
  17. 텔로미어에 대한 고찰

    사단법인 대한휘타구협회 www.iwf.kr 휘타구 용품 구입 및 자격증 취득 용품 지역구 독점총판 문의 032 822 7779, 010 9128 0142 텔로미어에 대해 말해봅니다 텔로미어는 우리 몸에 세포가 분열하면서 재생이 반복되는데 재생이 안되게 되면 노화가 ...
    Date2018.02.12 Views3997
    Read More
  18. 샴페인에 대한 고찰

    샴페인에 대해 말해봅니다 샴페인을 개발한 사람은 프랑스 수도사 피에르 페리뇽입니다 샴페인은 프랑스 지방 지명 이름입니다 프랑스어로는 샹파뉴 넓은 평원입니다 피에르 페리뇽은 포도주 창고 관리인이였는데 포도주 관리뿐...
    Date2018.02.06 Views4394
    Read More
  19. 한국어에 대한 고찰

    한국어에 대해 말해봅니다 한국은 일제 강점기인 20세기 초에 일본을 통해서 많은 문물을 받아들였습니다 우리가 잘알고 있는 말들중에 일본인들로 인해 잘못 인식된 단어들이 많습니다 첫번째 미싱 재봉틀입니다 미싱은 영어 머신의 일본식...
    Date2018.01.30 Views4285
    Read More
  20. 쿠루아상에 대하여

    쿠루아상에 대해 말해봅니다 프랑스 빵중에 가장 유명한 것은 바게트이고 그 다음이 쿠루아상입니다 쿠루아상이라는 빵이 만들어지게된 배경에는 오스트리아의 슬픈 역사가 있습니다 크루아상은 프랑스어 명사로 초승달 이란 뜻이고 초승달이 의미하는 것은 터...
    Date2018.01.22 Views472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
사단법인 대한휘타구협회 | 대표 : 김형석 | 고유번호 : 131-82-13921 | E_mail : gnlchxk1@hanmail.net / 주소 : 인천시 연수구 옥련동 405-93 청량아트빌 2층 전관 |


TEL : 032-822-7779 . 010-9128-0142 / Copyright ⓒ IWF All rights reserve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나눔고딕 사이트로 가기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