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6.18 23:11

성씨에 대한 고찰

조회 수 155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성씨에 대해 말해봅니다 
 
고구려는 장수왕때
백제는 근초고왕때
신라는 진흥왕때 부터 성씨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 답니다 
 
본래 성을 사용한 사람들은
왕실 귀족 유학자 사신 등에
국한되었다가 고려시대때
왕건이 나라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성을 하사했습니다 
 
노비나 천민은 조선후기
까지 성을 쓸 수 없었습니다 
 
갑오경장 이후에
매관 매직이 성행하면서
족보까지 사게됩니다 
 
그러다 순종 이후에
누구나 성을 쓸게 되었는데
노비나 천민은 어떤 성을
써야 할지 몰라서  
 
본인들의 주인 성을
많이 썼고 역대 왕들과 훌륭한
벼슬 아치의 성을 많이 썼습니다 
 
그래서 지금의
한국에 성씨 순위가
김.이.박.최순으로 많은 것입니다  
 
한국은 족보를 문헌으로
보존하는 유일한 나라로써
족복계의 원조였습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때
민족말살정책으로 창씨
개명이 이루어 지면서  
 
모든 족보를 없애
버렸고 그나마 남은 족보도
625전쟁때 소실되었습니다 
 
그래서 지금 남아 있는
양반 족보들은 신빙성이 없는
족보가 거의 대부분 이랍니다 
 
왜냐하면 조선시대 양반은
전체 백성에 1,9프로였기 때문입니다  
 
지금은 시대가 빠뀌어서
양반 천민이 없는 세상에서
우리는 살고 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차라리 족보가 없어진 것이
현재 한국사회에 잘된 일이라고 봅니다  
 
학연.지연.혈연 따지는
성향이 강한 한국이 족보가
지금도 보존되었다면 사회적으로
더 심한 갈등이 있었을 것이고 
 
민주화를 이루는 데에도
걸림돌이 되었을 것이며
백성이 국민인 나라를 만들지
못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새롭게 정치인들도 선출되었으니
새롭고 진취적이며 국민이 잘사는
나라가 되게 힘써주시길 바랍니다 
 
이런 문자가 있습니다
천지지간 만물지중 유일이 최귀라 
 
세상  모든 만물 중에
사람이 가장 귀하다는 말씀입니다 
 
가장 귀한 국민에 의한
정치가 되어서 모든 국민이
잘사는 대한민국 이되기를 소망합니다


20160907174123091eabd.jpg Screenshot_20180618-162230_Samsung Internet.jpg Screenshot_20180618-163110_Samsung Internet.jpg Screenshot_20180618-163525_Samsung Internet.jpg Screenshot_20180618-163600_Samsung Internet.jpg Screenshot_20180618-163644_Samsung Internet.jpg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66 화합에 대해 말해봅니다 화합에 대해 말해봅니다 한자적인 의미는 서로간의 마음이나 뜻을 모아 화목하게 어울린다입니다 화합이 잘되야 하는 분야 중에 음악이 있습니다 음악의 ... file 2018.02.19 1617
65 하이힐에 대하여 하이힐에 대해 말해봅니다 하이힐을 여성의 전유물로 생각하지만 과거에는 남자들이 주로 신었습니다 하이힐은 영어 높다라는 하이와 뒷굼치라는 힐의 합성어입니... file 2018.06.11 1617
64 가족들과의 시간들 그동안 휘타구 세미나와 관련 행사가 많아서 빠쁜 관계로 가족들과 시간을 많이 못보내서 가족들을 위한 시간을 갖었습니다 둘째딸 태희가 학교에서 연극을 준... file 2016.04.22 1611
63 명인과의 도자기 체험 저의 신지식인 동기이자 도자기 명인이신 함정구대표님의 초청으로 우리가족들과 함께 아침10시에 출발하여 12시에 이천에 도착하니 함대표님 께서 반갑게 마중 ... file 2017.03.06 1610
62 인천방송 휘타구 취재 인천방송에서 요즘 생활체육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휘타구스포츠를 취재했습니다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배울 수 있고 두뇌 전신 발달. 다이어... file 2015.10.06 1608
61 인연에 대해 말해봅니다 인연에 대해 말해봅니다 인연 (因緣) 불가에서는 因은 결과를 산출하는 내적 직접적 원인이고 緣은 결과의 산출을 도와주는 간접적 원인이라고 합니다 인연... file 2019.07.30 1608
60 애국에 대하여 애국에 대해 말해봅니다 애국은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입니다 나라를 사랑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입니다 첫째 난세의 의사 안중근의사 처럼 권총으로 이토 히로부미... file 2016.12.26 1603
59 인간과 동물에 차이 인간과 동물에 다른 점을 말해봅니다 대표적인 것이 인간은 말을 할 수 있고 도구를 사용할 수 있는데 반해 동물은 말과 도구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인간과 99프... file 2016.08.24 1600
58 생활체육 휘타구 “휘타구를 축구의 인기 능가하는 스포... https://story.kakao.com/_9Svv54/g1n2syBMmu9 “휘타구를 축구의 인기 능가하는 스포츠로 키우는 게 꿈” [인터뷰] 휘... file 2015.09.30 1593
57 글자의 대한 고찰 글자에 대해 글을 써봅니다 글자에는 두가지의 문자가 있습니다 지배문자와 민주문자 지배문자는 지배층이 사용하는 문자로 어렵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예를들어... file 2016.02.02 1586
56 김형석휘타구 41류,28류 특허등록증 김형석 휘타구 스포츠 용품 회사 김형석대표 성명과 휘타구를 결합한 김형석 휘타구가 특허청으로부터 41류 체육관 경영업과 28류 휘타구의 모든 용품에 김형석 ... file 2016.04.20 1577
55 지나족에 대한 고찰 동북공정에 대해 말해봅니다 동북공정은 중국인들이 남의 나라역사를 자신의 나라 역사로 왜곡해서 민족 문화 역사 땅까지 빼앗는 역사 왜곡정책입니... file 2016.07.01 1577
54 살롱과 귀족들 살롱에 대해 말해봅니다 17세기 초 프랑스왕 앙리 4세가 기나긴 종교전쟁 으로 성격이 거칠어진 귀족들에게 우아한 언행을 가르치기 위해 궁정 안에서 철학 문학 ... file 2017.09.18 1575
53 적반하장 (賊反荷杖) 적반하장 (賊反荷杖)에 대해 말해봅니다 도둑이 몽둥이를 든다는 뜻입니다 독일이 폴란드 침공 80주년을 맞아 희생자들을 추모하면서 진심 어린 사과를... file 2020.01.27 1566
52 목욕의 유래 목욕에 대해 말해봅니다 목욕의 근원지는 영국의 바스시입니다 제가 영국갔을때 바스시가 목욕의 근원지라고 해서 갔었습니다 목욕탕이 큰 성당같이 웅장하고 ... file 2017.03.13 1563
51 가족 나들이 황금연휴에 가족들과 장인 장모님 모시고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월미도가서 놀이기구 태워줬는데 작년만 해도 무서워 하면서 탔는데 지금은 바이킹도 즐... file 2016.05.18 1558
» 성씨에 대한 고찰 성씨에 대해 말해봅니다 고구려는 장수왕때 백제는 근초고왕때 신라는 진흥왕때 부터 성씨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 답니다 본래 성을 사용한 사람들은 왕실 귀족 ... file 2018.06.18 1557
49 조카와의 시간들 호주에서 조카가 잠시 귀국해서 자전거 타고 송도 투어를 했습니다 센트럴파크 바다를 배경으로 기념촬영하고 한옥마을 구경하고 커넬워크에서 차한잔의 여유를 ... file 2016.11.14 1554
48 인격 이란? 인격에 대해 말해봅니다 인격은 3가지를 갖추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가정교육 둘째 남을 배려하는 마음 세째 낮아지는 자세 첫째 가정교육 지위 고하를 막... file 2017.04.03 1554
47 아리랑 아리랑에 대해 글을 써봅니다 유럽에서 작곡가들을 대상으로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노래를 선정했는데 82프로의 압도적인 표차이로 아리랑이 1위를 했는데 더 ... file 2016.02.04 155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
사단법인 대한휘타구협회 | 대표 : 김형석 | 고유번호 : 131-82-13921 | E_mail : gnlchxk1@hanmail.net / 주소 : 인천시 연수구 옥련동 405-93 청량아트빌 2층 전관 |


TEL : 032-822-7779 . 010-9128-0142 / Copyright ⓒ IWF All rights reserve